분류 전체보기 42

[개념] 리틀엔디안(Little Endian)과 빅엔디안(Big Endian)

컴퓨터 아키텍처를 공부하다 보면 꼭 만나게 되는 개념! 바로 엔디안이다.엔디안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때 바이트 순서를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에 대한 규칙이다.이 개념은 특히 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 파일 포맷 분석,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포렌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 📌 엔디안(Endian)이란?엔디안은 다중 바이트로 구성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때 바이트 순서를 정의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4바이트 정수 0x12345678을 메모리에 저장할 때, 그 바이트를 어떤 순서로 저장할지가 바로 엔디안의 핵심이다. 그니깐 어떤 바이트부터 낮은 주소에 저장되는지에 따라 두 방식을 구분한다! 두 가지 주요 방식구분메모리 저장 순서(주소가 낮은 곳부터)빅엔디안 (Big Endian)0x1..

카테고리 없음 2025.05.28

[WireShark] 툴 사용법, 주요 기능

1. 툴 기본 정보항목내용툴 이름Wireshark분석 카테고리네트워크 아티팩트다운로드 경로https://www.wireshark.org/지원 포맷.pcap, .pcappng 2. 툴 소개 및 목적 Wireshark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캡처하고, 다양한 프로토콜을 분석할 수 있는 오픈소스 패킷 분석 도구 3. 설치 메뉴얼 https://security21.tistory.com/70 [WireShark] 와이어샤크 설치와이어샤크에 대해 알아보자!WireShark란?자유 및 오픈 소스 패킷 분석 프로그램초창기에는 "Ethereal"로 나왔으나 상표문제로 "WireShark" 로 바뀌게 되었다'통신망의 상어'라는 뜻인데, 우스워 보이는security21.tistory.com참고! 4. 주..

카테고리 없음 2025.05.28

[개념] Electron App이란?

Electron App이란?Electron은 웹 기술로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프레임 워크이다.한마디로, 웹 앱을 데스크톱 앱처럼 포장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이다. 1. 탄생 배경과 개요Electron은 GitHub에서 개발되었으며, 최초에는 Atom 에디터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었다.현재는 Slack, Visual Studio Code, Discord, Notion, JANDI 등 인기 앱들이 Electron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 정의HTML, CSS, JavaScript로 만든 웹 애플리케이션을 데스크탑 앱처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레임워크 2. 동작 구조Electron은 크게 두 개의 프로세스로 구성되는데,1. Main ProcessNode.js 기반앱의 실..

카테고리 없음 2025.05.21

[WireShark] 와이어샤크 설치

와이어샤크에 대해 알아보자!WireShark란?자유 및 오픈 소스 패킷 분석 프로그램초창기에는 "Ethereal"로 나왔으나 상표문제로 "WireShark" 로 바뀌게 되었다'통신망의 상어'라는 뜻인데, 우스워 보이는 이름이지만 피 한 방울만 떨어져도 감지해내는 상어처럼 통신망을 감시한다는 취지로 만들어졌다와이어샤크는 각기 다른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구조를 이해하는 소프트웨어이다. 그러므로 각기 다른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규정한 각기 다른 패킷의 의미와 더불어 필드와 요약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와이어샤크는 pcap을 이용하여 캡처를 포획하므로 pcap이 지원하는 종류의 네트워크의 패킷만 포획할 수 있다 설치 방법1. Wireshark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https://www.wireshark.org/ W..

카테고리 없음 2025.03.21

[Ubuntu] 우분투 22.04에 Chrome 설치하기

GUI 기본 기능 // firefox에 가서 chrome download ubuntu 입력-> 다운로드 하기 클릭  어떤 패키지로 깔거냐 배포판은 무엇이냐 물어보는 화면이 뜬다데비안 계열의 우분투이기 때문에deb(데비안의 약자), dpkg(데비안 패키지의 약자) 형태 다운로드 해주면 설치가 된다  CLI 설치하는법 ** sudo su 해서 수퍼유저 권한에서 사용해야함cd 다운로드dpkg -i google-chrome-stable_current_amd64.debsudo dpkg -i google-chrome-stable_current_amd64.deb설치 완료 후 터미널 상에서 goole-chrome 명령어로 실행 가능   설치가 된것 확인

카테고리 없음 2025.03.19

[PC-19] 4. 보안관리 > 4.7 원격 지원을 금지하도록 정책 설정

점검내용) 원격 지원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하고 있는지 점검 보안위협) 원격 지원 기능이 활성화 되어 비인가자에게 원격에서의 접근이 허용될 경우, 시스템 제어 권한이 악용될 수 있음 판단기준)  양호 : 원격 지원이 “사용 안 함”으로 설정 되어 있는 경우                  취약 : 원격 지원이 “사용”으로 설정 되어 있는 경우 점검 및 조치사례)                   원격 지원 서비스 비활성화  ■ Windows XP, Windows 7, Windows 8.1, Windows 10Step 1) 윈도우키+영문자R 키 입력> 실행> “gpedit.msc” 입력> 컴퓨터 구성> 관리 템플릿> 시스템> 원격 지원gpedit.msc  Step 2) “원격 지원 제공”을 “사용 안 함”으로..

[PC-18] 2. 서비스 관리 > 2.6 브라우저 종료 시 임시 인터넷 파일 폴더의 내용을 삭제하도록 설정

점검내용) 브라우저 인터넷 옵션에 있는 고급 설정에 “브라우저를 닫을 때 임시 인터넷 파일 폴더 비우기”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는지 점검 보안위협) 임시 인터넷 파일 폴더 내용을 삭제하지 않을 경우, 다른 계정에 저장된 임시 인터넷 파일 폴더를 통해 이메일 주소, 웹 사이트 접근 기록 등의 개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 ※ 임시 인터넷 파일: 웹페이지 방문 시 화면에 나타나는 웹페이지 파일이나 이미지, 플래시 등을 저장한 파일판단기준)  양호 : "브라우저를 닫을 때 임시 인터넷 파일 폴더 비우기” 설정이 “사용”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취약 : "브라우저를 닫을 때 임시 인터넷 파일 폴더 비우기” 설정이 “사용”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점검 및 조치사례)         ..

[PC-17] 2. 서비스 관리 > 2.5 대상 시스템이 Windows 서버를 제외한 다른 OS로 멀티부팅이 가능하지 않도록 설정

점검내용) 사용자 PC에 하나의 OS만 설치되어 있는지 점검  보안위협) 멀티 부팅이 가능한 경우, 공격자는 해당 PC의 주요 OS이외에 다른 OS로 부팅하여 중요한 정보가 들어 있는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여 주요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 ※ 멀티 부팅(Multi booting, 다중 시동): 한 대의 PC에서 2개 이상의 OS를 설치하는 것 을 말하며, PC 전원을 켤 때 시동할 OS를 선택할 수 있음. 멀티 부팅은 개발, 테스트 목적을 위해 여러 운영 체제를 돌리려고 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많이 사용하며, 한 대의 PC에 이러한 시스템을 갖춤으로써 하드웨어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운영 체제를 "별도의 포맷, 다시 설치 과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판단기준)  양..

[PC-16] 2. 서비스 관리 > 2.4 파일 시스템을 NTFS 포맷으로 설정

점검내용) 하드 디스크의 파일 시스템이 NTFS를 사용하고 있는 지를 점검보안위협) FAT32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컴퓨터에 액세스하는 사람은 누구나 컴퓨터 안에 있는 파일을 읽을 수 있으므로, 중요 파일에 접근할 수 없는 비인가자가 주요 정보를 유출할 수 있음 기존에 FAT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다가 NTFS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convert.exe 명령을 사용할 수 있지만 FAT 파일 시스템으로 운영 중 변환해야 하는 경우 Default ACL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가능한 초기 설치 시 NTFS 파일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을 권장함 ※ ACL: 프로세스가 시스템이나 파일에 읽기, 쓰기, 실행 등의 접근 여부를 허가하거나 거 부하는 기능 ※ NTFS, FAT32 파일 시스템 비교: FAT..

[PC-15] 1. 계정관리 > 1.3 복구 콘솔에서 자동 로그온을 금지하도록 설정

점검내용) 윈도우 복구 콘솔 자동 로그인 설정이 허용되어 있는지 점검보안위협) 윈도우 복구 콘솔(Recovery Console) 자동 로그온 설정은 시스템 액세스 허가 전 Administrator 계정의 암호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 옵션을 사용 하면 비인가자의 경우에도 복구 콘솔을 이용해 관리자 권한으로 시스템에 자동으로 로그온 할 수 있음 ※ 복구 콘솔(Recovery Console): 윈도우 2000, 윈도우 XP, 윈도우 서버 2003 운영체제의 기능 가운데 하나로 윈도우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나타날 때까지 시동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관리자들이 복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주된 기능임. 이 콘솔을 통해 관리자들이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한된 영역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